오늘은 2021년 5월 부터 재개된 공매도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고 그 대상종목에 대한 정리와 투자 방향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요약해 보았습니다.
공매도 란?
주가 하락 시 실제로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파는 행위를 이야기 합니다.
조금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서 ㅇㅇ증권 이라는 종목을 10만원에 가지고 있고 하락을 하게 될 것이라 예상 하게 되면 현재 주가인 10만원에 우선 매도를 하고, 3일 후 결제일에 예상대로 주가가 떨어져 8만원이 되었다면 8만원짜리 ㅇㅇ증권의 종목을 사서 갚아주는 방식이고 2만원의 차익을 챙기는 겁니다.
즉, 주가의 하락만 명확히 예상할 수 있다면 상당한 수익을 낼 수 있는 수단이 됩니다. 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 손해를 보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기관이나 외인이 이를 시도할 수 있는 이유는 자본이 워낙 크기 때문에 시세를 움직 일 수 있는 만큼의 주식 보유량을 확보할 수 있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 되는 공매도의 제도의 경우 결제일의 제한을 두지 않기 때문에 하락할때 갚으면 된다는 치트키를 들고 있는 셈이죠.
그래서 많은 개인 투자자들이 공매도 재개에 불만을 갖게 되었습니다.
공매도 대상종목
우선 공매도 대상종목이 되는 코스피 200, 코스닥 150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는 KRX 한국 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코스피 시장과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시가총액 순위 상위에 해당하는 기업을 나열한 것입니다.